미리 알림: 이 글은 필자의 이해를 위해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이니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음. 다른 더 좋은 블로그 글이나 관련 사이트 글을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 출처 바로보기 시작하며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뭔가 알긴 아는데 개념을 정확히 모르는 게 많다. (사실 모르는 건 부끄러운 게 아니다. 아는 척하는 게 부끄러운 거지.) 자격증 공부하다가 SSL, TLS 가 보기에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이번에 정리해보기로 한다. 1. SSL 이란 Secure Sockets Layer, 보안 소켓 계층 SSL이란 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 인터넷 통신 간의 전송되는 개인정보 보호, 인증,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한다. SSL은 현재 사용 중인 TLS 암호화의 전신 요즘은 주로 TLS 인증서를 사용하지..
1. 포트 Port 란 TCP나 UDP 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상호구분을 위해서 사용하는 번호이다. IP 내에서 특정 프로세스 구분을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즉 각 프로토콜의 데이터가 통하는 논리적 통로이다. netstat -an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netstat: network statistics, 전송 제어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도구 -a: 수신 중인 모든 TCP 및 UDP 포트를 표시 -n: 주소나 포트 형식을 숫자로 표시 2. 주요 네트워크 포트 목록 주요 기본 Port Port Number Usage 20 FTP (File Transfer Protocol) Data Transfer 21 FTP (Fil..
1. IP 주소란 IP 주소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IPv4, IPv6 두 가지 종류가 있다. ex) IPv4: 93.184.216.34 ex) IPv6: 2001:0db8:85a3:08d3:1319:8a2e:0370:7334 IPv4 는 오늘 날 일반적으로 주로 사용한다. IPv4: [0-255].[0-255].[0-255].[0-255] IPv6 는 IPv4의 32 bit 로는 주소를 부여하기에 부족하기 때문에 생겨났다. 128 bit 체계이다. 2. Public IP 란 외부에 공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컴퓨터에서 인터넷(WWW)으로 접속 가능하다. 전체 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값이다. 지리적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폰 번호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